본문 바로가기
복지

[부산광역시]동백전 카드 신청 및 사용처 등 알아보고 신청하세요.

by o단지아빠o 2023. 11. 29.
반응형

동백전이란? 부산시의 상징화인 '동백꽃'과 화폐를 의미하는 '전'을 합성해 만든 부산지역화폐의 명칭입니다.

카드 신청 및 발급, 사용처 등 알아보고 신청하세요.

부산, 동백전, 카드 신청 및 사용처

동백전 혜택

동백전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결제 즉시 캐시백 적립 5%

2. 동백전 상생 가맹점에서는 현장 할인

3. 연말정산 시, 현금과 같은 30% 소득공제

-. 체크카드의 경우 : 별도 신청없이 사용하신 금액 30%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충전형 선불카드의 경우 : 카드발급사 (코나아이)를 통해 소득공제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전통시장에서 사용 시 40% 소득공제가 적용됩니다.

동백전 사용처 (가맹점)

동백전 사용처는 부산광역시 관내 신용카드 가맹점, IC 카드 단말기를 사용하는 부산광역시에 등록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단, 부산광역시 정책에 따라 일부 매장에서는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백화점 및 대형마트, 유흥주점 및 사행성 산업 등 일부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동백전 카드 신청 및 발급 방법

동백전 카드 신청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동백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주세요.

2. 애플리케이션에서 회원가입 합니다.

3. 카드 신청 및 등록을 진행합니다.

※동백전 애플리케이션에서 내 지갑 → 카드 신청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동백전 체크카드는 별도의 카드 등록 없이 이용 가능합니다.

4. 카드 신청 및 등록을 완료하셨다면 일정 금액을 충전하신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동백전 (후불) 교통 카드

동백전 (후불) 교통 카드 아래와 같습니다.

1. 부산 체크 카드

2. 하나 체크 카드

ㄴ 하나 은행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3. 농협 체크 카드

ㄴ 농협 은행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부산 체크 카드, 하나 체크 카드, 농협 체크 카드는 간편결재 (삼성페이/LG페이 등) 사용이 가능합니다.

※부산 체크 카드, 하나 체크 카드, 농협 체크 카드는 후불 교통 카드 신청이 가능합니다.

4. 코나 선불카드

ㄴ 동백전 애플리케이션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코나 선불카드는 간편 결재 (삼성페이/LG페이 등) 사용이 불가능하며 후불 교통 카드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동백전 카드 분실 신고

동백전 카드 분실 신고는 카드의 종류만큼 다양합니다.

1. 부산 체크 카드 분실 신고 : 부산은행 고객센터 (1588-6200)

2. 하나 체크 카드 분실 신고 : 하나카드 고객센터 (1800-1111)

3. 농협 체크 카드 분실 신고 : 농협카드 고객센터 (1644-4000)

4. 코다 선불 카드 분실 신고 : 코나카드 고객센터 (1566-9597)

동백전 카드 홈페이지

부산광역시, 동백전 홈페이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