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에서 저평가된 주식(기업)을 찾아 투자하는 것을 뜻합니다.
주식의 전설, 워렌 버핏의 투자 원칙
가치 투자
저평가되어 있는 기업을 찾아서 주가가 쌀 때 사서 비쌀 때 판다는 투자 방식이 바로 가치 투자입니다.
성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투자 방식이기도 합니다.
주의! 주가가 많이 떨어졌다고 해서 모든 주가가 반등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락주와 저평가주를 구별할 줄 알아야 합니다. 무조건 싸다고 샀다가는 바닥의 바닥을 볼 수 있어요!
저평가 가치주 찾기.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 중 하나는 가치 투자를 주가로만 평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가치 투자는 주가만 평가하는 게 아닙니다. 기업을 먼저 평가해 보고 주가가 기업의 가치보다 쌀 때 매수하여 오를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가치 투자입니다.
저평가 가치주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환경에 영향을 주는 분야는 하락세이며 친환경 분야는 상승세입니다. 대면 업종은 하락세이며 비대면 업종은 상승세입니다. 하락주와 저평가주는 숲은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숲을 볼 줄 알려면 공부를 해야겠지요? 자신의 가치보다 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주식(기업)을 찾아야 하며 우량 저평가주를 가려내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저평가 우량주 찾기.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려면 눈에 보이는 결과물이 있어야 저평가되어 있는지 고평가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겠죠?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눈에 보이는 결과물이 바로 '기업 가치 평가 지표'입니다.
ROE, PER, EV/EBITDA, PBR
1. 자기자본이익률 (ROE) 2. 주가수익비율 (PER) 3. 이브이/에비타 (EV/EBITDA) 4. 주가순자산비율 (PBR)
1. 자기자본이익률 (ROE) (Return On Equity) / 기업(경영자)이(가) 투자자(주주)의 자본을 사용하여 이익을 올리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Tip. 투자에 대한 운용효율을 보여주는 기업 가치 평가 지표 중 하나입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자기자본) X 100
Tip. 자기자본이익률(ROE)이(가) 높으면 돈을 잘 버는 회사입니다. 중요!
2. 주가수익비율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PER)은(는) 주가를 1주당 예상 순이익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주가수익비율 (PER) = 주가 / 1주당 예상 순이익. 예를 들어 10명의 투자자가 A라는 기업에 100만 원씩 투자를 해서 자본금 1,000만 원의 회사를 상장했습니다. 1년 후 경비를 제외한 순수익이 100만 원 발생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투자자가 10명 이므로 1인당 10만 원의 순수익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만약 A라는 기업의 주가가 현재 10만 원이면 PER는 1이 됩니다.
Tip. PER 수치가높다면 고평가 된 주식! PER 수치가낮다면 저평가된 주식!
Tip. ROE, PER 등의 수치는 주식 매매 프로그램에서 한눈에 확일 할 수 있습니다. 공식을 외우거나 직접 계산하실 필요가 없어요! 하지만 계념은 알고 계셔야겠지요? 좋은 주식을 고르기 위해서는 주당 순이익(EPS), 현재의 PER, 미래의 예상 PER를 확인하고 예측해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지난 실적보다는 미래의 예상 실적에 의한 PER을 알아야 가치 투자자가 될 수 있겠죠?
Tip. 미래의 예상 PER을 예측하였으면 동종 업계 평균치와 비교해 보고 업계의 전반적인 추세도 확인하셔야 한다는 것 잊지 마세요! 동종업계 PER 평균보다 낮으면 저평가 가능성이 많은 기업(주식)이에요. 주당 순이익(EPS)은(는) 안정적으로 높아지면서 PER는 안정적으로 낮아지면 BEST!
Tip. 기복이 심한 회사는 위험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주의!
3. 이브이/에비타 (EV/EBITDA)
현금 창출 능력이 시가총액에 대비하여 얼마나 평가(고평가, 저평가)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특별이익이나 특별손실은 제외된 순수하게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을 기준으로 합니다.
Tip. 위에서 언급한 PER은 특별 손익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EV = 시가총액+순차입금
Tip. 순차입금 = 총차입금-현금 및 투자유가증권. EBITDA = 영업이익+비현금성 비용+제세금
Tip. 비현금성 비용 = 현금유출이 없는 비용
예, 감가상각비. ※감가상각비란 건물이나 기계 설비 등의 고정 자산의 가격 감소를 보상하기 위한 비용입니다.
위의 계산 공식이나 세세한 부분은 모르고 계셔도 됩니다. 주식 거래 프로그램에서 알아서 계산을 해서 수치화되어 있습니다. 그 수치가 낮은지 높은지만 확인하여 낮으면 저평가되어 있다, 수준의 지식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Tip. EV/EBITDA는 특별 손익이 포함되어 있는 PER의 단점을 보완해 주는 수치로 PER과 더불어 같이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됩니다.
4. 주가순자산비율 (PBR)
PBR은주가순자산비율이란 뜻으로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 때 몇 배나 되는지를 수치화한 것입니다.
Tip.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 / 1주당 순자산
기업의 장부상의 가치와 주가를 비교해 보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PBR이 1이면 주가와 기업의 장부상의 가치가 동일하다는 뜻입니다. PBR이 1보다 적으면 주가가 기업의 장부상의 가치보다 낮다는 뜻입니다. '이게 무슨 말이야?'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럴 땐, 동종 업계의 다른 종목에 비해 PBR이 낮을수록 저평가되어 있는 기업(주식)이다라고 알고 계시면 됩니다.
글로 작성하게 되면 상당히 긴 글이지만 모든 수치 및 자료들은 주식 매매 프로그램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각 용어의 뜻과 개념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이제부턴 초보 투자자에서 어느 정도 개념이 잡힌 개념 투자자로 업그레이드되셨습니다.
어떠셨나요? 많이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아무 생각 없이 매매하던 시절을 생각하면 소름이 끼칠 정도입니다.
경험해 본다 생각하고 돈을 그냥 버리던 나날들은 이제 안녕입니다.
저의 블로그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크셔 헤서웨이 연혁, CEO, 미래, 주가 분석 (Berkshire Hathaway) (0) | 2023.04.25 |
---|---|
구글 연혁, CEO, 미래, 주가분석 (Google) (0) | 2023.04.25 |
주식 거래 수수료, 매매 방법, 분할 매수, 분할 매도, 종잣돈 만들기, 시드머니 만들기 (0) | 2023.04.24 |
주식 투자자가 명심해야 할 사항, 주식은 어떻게 사고 파는가, 매매 체결의 원칙, 적정 주가를 알 수 있는 공식, 앞으로 오를 주식 (0) | 2023.04.24 |
주식의 정의, 주식 회사의 정의, 주식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주식 투자 시 주의해야 하는 것 (0) | 2023.04.24 |